논알콜

Dry January(드라이 재뉴어리)
매년 1월 한 달 동안 금주를 실천하는 캠페인이에요.

이 캠페인은 1942년 핀란드 정부가 전시 자원 절약과 음주 문화 개선을 위해 시작한 ‘건조한 1월(Raitis tammikuu)’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드라이 재뉴어리는, 영국에서 시작됐는데요.
2013년 영국의 비영리단체 알코올 체인지 UK(Alcohol Change UK)가 최초 캠페인을 펼쳤어요.

이후 영미권을 중심으로 매년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참여하는 글로벌 운동으로 성장했습니다.

1. 미국의 드라이 재뉴어리

미국에서 1월 금주 챌린지가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건 생각보다 얼마 되지 않았어요.
2022년에 메해리 의과대학이 영국의 알코올 체인지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아 ‘드라이 재뉴어리 USA’를 시작하면서 부터입니다.

작년 2024년 조사 결과, 21세 이상 미국 성인 약 5명 중 1명(21%)이 한 달간 금주에 동참했다고 해요. 2년 만에 이렇게 많은 사람이 관심을 보이는 게 놀랍죠.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참여율이 높았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왜 이 챌린지에 참여할까요?
참여자 10명 중 6명 이상(63%)이
‘건강을 위해서’라고 답했어요.

단순히 트랜드라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1월이 끝난 후에도 건강한 음주 습관을 유지하겠다고 대답했습니다.

기업들도 이 트랜드에 적극 동참하고 있어요.
2021년 버드와이저는 무알콜 맥주 버드와이저 제로를 앞세워 NFL과 NBA 스타들을 ‘팀 제로’ 앰버서더로 섭외했습니다.
웹사이트에 가입하면 한 달 내내 응원 메시지를 보내주는 프로그램도 운영했다고 해요.

요즘은 SNS에서 #DryJanuary 해시태그로 경험담을 나누거나,
TryDry 같은 앱으로 진행 상황을 기록하는 문화도 자리 잡았다고 하네요.

2. 유럽의 드라이 재뉴어리

1) 영국, 드라이 재뉴어리의 본고장

1월 금주 챌린지 하면 역시 본고장인 영국입니다. 알코올 체인지 UK가 2013년부터 매년 캠페인을 펼치면서, 이제는 국민운동처럼 자리 잡았어요.
2025년 통계를 보면, 영국 성인 3명 중 거의 1명인 약 1,550만 명(29%)이 1월 금주를 계획했다고 해요.

영국 역시 연령대별로 봤을 때 확실히 젊은 세대가 적극적이에요.
이런 트랜드를 반영하듯 영국 식음료 업계도 빠르게 변하고 있어요.
영국에서는 음식점에서 무알콜 메뉴를 찾는 게 어렵지 않다고 합니다.

2) 프랑스는 민간 주도

프랑스에서는 2020년부터 이 캠패인이 시작됐어요.
르몽드 신문 보도를 보면, 보건 당국이 일부 지원을 검토했지만, 정부 차원의 본격적인 후원은 없었다고 해요.
대신 시민 단체와 연구자들이 중심이 되어 운동을 이끌고 있습니다.

3) 독일의 조용한 변화

독일은 조금 다른 양상이에요.
큰 캠페인을 벌이기 보다는, 사회 전반에 걸쳐 건강한 음주 문화가 자연스럽게 퍼지고 있습니다.
특히 독일 젊은 세대 사이에서 ‘헬시 플레저(건강한 즐거움)’ 문화가 확산되면서 무알콜 맥주 인기가 폭발적으로 늘었다고 합니다.

독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무알콜 맥주 생산량이 5억 5,600만 리터에 달했는데, 이게 2013년과 비교하면 무려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치랍니다.

3. 무알콜 음료,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

요즘 마케팅 업계가 주목하는 키워드가 있어요.
바로 소버 큐리어스(sober-curious)’,
술을 마실 수 있지만 일부러 술을 마시지 않는 라이프 스타일을 실천하는 사람들이죠.
영미권에서는 1월 금주 열풍과 맞물려 글로벌 음료 기업들이 무알콜 제품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어요.

하이네켄은 2025년,
‘0.0 Reason Needed’라는 글로벌 캠페인을 선보였어요.
“1월이니까 무알콜 맥주를 마신다”가 아니라, “굳이 이유가 필요 없다”는 메시지로 무알콜 음료의 일상화를 강조했죠.

버드와이저 제로는 앞서 말한 것처럼 ‘Team Zero’ 캠페인을 펼쳤구요!

재밌는 사례로,
영국의 감자칩 브랜드 워커스는 “우리 칩도 알콜 0.0%예요”라는 위트 있는 패러디 광고로 화제를 모았어요.
주류업계가 아니라도 이 트렌드를 활용할 만큼 마케팅에서 핫하다는 방증이죠.

4. 드라이 재뉴어리가 바꾸고 있는 우리의 음주 문화

📌 건강을 향한 작은 실천

드라이 재뉴어리가 단순히 한 달 술을 끊는 이벤트에 그치지 않는 이유는,
이 캠페인은 우리 사회가 술과 건강을 바라보는 시각 자체를 바꾸고 있기 때문이에요.

영국과 미국의 참가자들에게 왜 참여했는지 물어보면, 압도적으로 많은 사람이 ‘건강을 위해서’라고 답한다고 해요.
더 의미 있는 건, 1월이 끝난 후에도 계속해서 음주량을 줄이겠다는 의지를 보인다는 점이에요.
한 달의 경험이 장기적인 습관 변화로 이어지고 있는 거죠.

📌 젋은 세대가 이끄는 절주 문화

무알콜 음료는 젊은 세대에게 인기가 많죠.
드라이 재뉴어리도 마찬가지예요.
영국에서는 25~34세의 43%가 1월 금주 계획을 세운 반면, 55세 이상은 18%만 참여했어요.
미국도 비슷한데요, 시빅 사이언스 조사 결과 Z세대의 35%가 챌린지를 완료했지만, 고령층은 14%에 머물렀습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에요.
20-30대의 건강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온라인에서 ‘소버 라이프’, ‘저속노화’ 콘텐츠가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 전통적인 음주 문화에 불어온 변화의 바람

1월 금주 운동을 통해 절주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넓어지면서, 오랫동안 음주 중심이었던 문화에도 균열이 생기고 있어요.

과거에 레이브는 무조건 술을 함께 해야 했다면, 오전 커피와 함께 “소버 레이브”를 여는 등 “파티=술”이라는 공식을 깨버렸죠.


또한, 영국에서는 주류업계뿐 아니라 의료계까지 나서서 금주를 장려하고 있어요.
프랑스에서는 새로 임명된 보건장관이 “개인적으로” 금주 캠페인에 동참하겠다고 공개 선언해서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전체적인 흐름을 보면
드라이 재뉴어리는, 금주나 절주가 더 이상 이상하거나 특별한 일이 아니라,
개인의 건강과 라이프스타일을 챙기는 긍정적인 선택
으로 받아들여지는 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어요.

about me

지독한 알코올 러버였지만, 건강 이슈로
무알콜∙논알콜의 세계를 탐구 중입니다.

술을 사랑하는 사람의 입맛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알콜∙논알콜 음료를 소개합니다.
건강을 지키면서 유쾌한 삶을 살아갑니다!

Send a message

궁금하신 부분이나 비즈니스 제안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0 comments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일본 저도수 알코올 맥주 쇼키노 사탄 IPA 캔과 맥주를 따른 잔

야호브루잉(株式会社ヤッホーブルーイング)이 2022년 선보인 쇼키노 사탄 IPA는 알코올 도수 0.7%인 저알콜 IPA에요.

일본은 0.5% 이하의 논알콜 무알콜 맥주뿐만 아니라, 0.6~0.9% 정도를 별도로 “로우알콜 맥주(저도수 맥주)”로 구분해서 판매하고 있어요.
무알콜 논알콜 차이가 궁금하다면 이 글을 참고해보셔도 좋아요 🌟

그리고 이 제품, 2021년 세계 맥주 품평회 중 하나인 인터내셔널 비어컵(International Beer Cup)에서 논알콜 부문 금상과 카테고리 챔피언을 수상했다고 해요.

1. 논알콜 맥주 정보

1) 도수

0.7%

2) 원재료명

맥아(외국산), 유당, 홉, 밀, 귀리, 식염, 탄산, 산미료, 향미료, 염화칼숨

3) 구매처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4) 칼로리 등 영양 정보

↓↓↓↓↓↓↓↓↓↓

2. 논알콜 맥주 테이스팅 노트

  • 술 유사도70
  • 바디감30
  • 당도60
  • 쓴맛50

🍺 맛과 향의 특징

‣ 맛
외국의 논알콜 무알콜 맥주는 배송 과정에서 품질 관리가 일정하지 않아, 본래의 맛을 온전히 평가하기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특히 맛이 약하게 느껴지는 제품일수록 이러한 의심이 더 커지는데, 쇼키노 사탄 IPA도 그런 범주에 들어가는 제품이었습니다.

열대과일 계열 홉 향은 느껴지지만 쓴 맛은 옅고, 맛의 레이어가 충분히 쌓여있지 않아 전체적인 밸런스가 무너진, 미완성된 느낌의 저도수 맥주 같았어요.

다만, 이는 배송 중 품질 변화 때문일 수도 있어, 동일한 제품을 다시 한 번 시음해볼 계획입니다.

‣ 색과 거품
색감은 일반 IPA와 비슷합니다.
맑은 오렌지 주스 색을 띄고 있으며,
거품도 촘촘하게 잘 올라와 외관은 꽤 맥주다운 편입니다.

‣ 향
특유의 아이피에이 홉향이 비교적 잘 살아 있어요.
열대과일과 시트러스계열 향이 퍼져 마시기 전 IPA의 풍미를 기대하게 만듭니다.

‣ 맛의 조화
쇼키노 사탄 IPA는 드라이한 피니시로 라거 같은 특징도 가지고 있어요.
하지만 라거의 드라이함과 IPA의 홉 캐릭터가 조합되면서 두 스타일의 매력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지지는 않았습니다.

차갑게 마실 경우 괜찮았지만, 전반적으로 워터리하고 쓴 맛이 약해 전체적인 밸런스가 아쉬웠어요.

IPA와의 유사도는 낮지만, 미량의 알코올이 있다보니 일반 논알콜 무알콜 맥주보다는 맥주에 가까운 느낌을 제공합니다.

💡

쇼키노 사탄 IPA는?

“IPA의 향은 살렸지만 스타일 완성도는 조금 아쉬운, 가볍게 즐기기 좋은 저도수 IPA.”

🗣️ 다른 사람들 리뷰도 보려면?

 👉🏻[Untappd 리뷰] 보러가기👈🏻 

3. 논알콜 맥주 특징

📌

어떻게 만들어질까?

쇼키노 사탄 IPA는 약 6개월에 동안 무려 100번이 넘는 테스트를 거쳐 완성된 제품이라고 해요. 알코올은 최소화하면서도 맥주 특유의 풍미를 살릴 수 있는 효모를 찾기 위해 수많은 실험을 진행했고, 그 결과 선택된 효모 바로 벨기에산 ‘아르덴네스(Ardennes)’에요.

홉은 총 7가지를 블렌딩해 사용하며, 그 중에서도 IPA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느 시트라(Citra)와 모자익(Mosaic) 홉이 중심 역할을 맡고 있어요.

특히 드라이홉 단계에서는 자사의 인기 제품보다 약 두 배 많은 홉을 투입했다고 합니다.

발효를 일찍 마무리하면 밍밍한 맛이 날 수 있고, 맥주 특유의 단맛이 남을 수도 있는데요.

쇼키노 사탄 IPA는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맥아뿐만 아니라, 밀과 귀리까지 더해 부드러운 질감을 살렸다고 합니다.

📌

컨셉과 디자인

야호브루잉이 이 제품에 담은 컨셉은 “酔わずに心を満たす”.
즉 ‘취하지 않고도 마음을 채우는’ 맥주라는 의미입니다.

평일 저녁처럼 술은 마시고 싶지만
알코올 부담은 피하고 싶을 때 딱 맞는 제품을 목표로 만든 거죠.

제품명 “쇼키노 사탄”도 재밌어요.
일본어 ‘쇼키(正気)’는 ‘제정신, 맨정신’을 의미하고, ‘사탄(サタン)’은 Satan, 즉 악마를 뜻해요.
조합하면 ‘제정신의 악마’라는 장난스러운 이름이 됩니다.

‘알코올이 거의 없어 취하진 않지만, 기분이 좋아지는 IPA’,
또는 ‘악마 같은 매력을 가졌지만 취하지는 않는다’ 등의 의미로 해석해 볼 수 있겠죠.

패키지 디자인도 눈길을 끌어요.
라벨에 등장하는 염소(악마의 상징) 캐릭터가 선글라스를 끼고 정장까지 차려입고 있어요.
마치 “제정신의 사탄”이라는 컨셉을 그대로 시각화한 듯한, 유쾌하고 센스 있는 디자인이 돋보입니다.

about me

지독한 알코올 러버였지만, 건강 이슈로
무알콜∙논알콜의 세계를 탐구 중입니다.

술을 사랑하는 사람의 입맛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알콜∙논알콜 음료를 소개합니다.
건강을 지키면서 유쾌한 삶을 살아갑니다!

Send a message

궁금하신 부분이나 비즈니스 제안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0 comments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논알콜 맥주, 아티스트보틀클럽의 B라거의 캔 이미지

논알콜 라거 스타일의 B라거는 아티스트보틀클럽이 어프리데이와의 협업으로 만든 논알콜 맥주예요.
저는 쇼룸에 직접 가서 시음해 본 후,
한 캔을 구매해 집에서도 시음해 두 번 마셔봤어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무조건 한 번은 시도해 봐야 웰메이드 논알콜 맥주입니다.
완벽하기만 한 건 아니지만, 충분히 가치 있는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볼게요!👇🏻

1. 논알콜 맥주 정보

1) 도수

0.02% 무알콜

2) 원재료명

정제수, 보리맥아, 옥수수, 호프, 이산화탄소

3) 구매처

아티스트보틀클럽

4) 칼로리 등 영양 정보

↓↓↓↓↓↓↓↓↓↓

2. 논알콜 맥주 테이스팅 노트

  • 술 유사도85
  • 바디감60
  • 당도40
  • 쓴맛35

🍺 맛과 향의 특징

‣ 맛
라거 스타일 논알콜 맥주라 드라이하고 깔끔한 맛을 기대했지만, B라거는 오히려 쾰슈 스타일에 가까웠는데요.
처음에는 은은한 과일 향가벼운 몰트의 단맛이 입안을 채우다가, 끝에서는 드라이하게 떨어지며 홉의 쌉싸름함이 남습니다.
아티스트보틀클럽에 따르면, B라거는 라거와 에일의 중간 지점을 목표로 홉 비율을 높여 개발한 논알콜 맥주라고 합니다.

가볍고 청량한 라거 스타일임에도 워터리하지 않고 맛이 꽉 차 있으며, 논알콜 맥주 중에는 드물게 바디감이 느껴지는 편입니다.

다만 집에서 마신 두 번째 경험에서는 약간의 우유 비린내와 메탈릭한 향이 섞여 밸런스가 흐트러졌는데, 아마도 보관 과정이나 온도 변화로 인해 품질이 달라진 것으로 보입니다.

‣ 색과 거품
거품의 지속력과 탄산감이 실제 맥주와 상당히 유사하며, 크리스피한 질감이 인상적입니다.
기포감이 오래 살아있고 황금빛 색상이 시각적으로도 진짜 맥주를 마시는 듯한 느낌을 더해 줍니다.

‣ 향
쿰쿰한 발효 향에 플로럴한 홉 향과 맥아의 단향이 어우러져 복합적이면서 깊이 있는 향을 냅니다.
이 조합은 전형적인 라거보다는 에일에 가까운 풍성한 향의 구조를 형성하며 다층적인 느낌을 줍니다.

‣ 맛의 조화
B라거는 제조사가 강조한 대로 섬세한 밸런스를 추구하는 논알콜 맥주입니다.
실제로 첫 시음에서는 온도가 올라가도 밍밍해지지 않고 홉의 쌉싸름한과 청량감이 유지되어 훌륭한 밸런스를 보였습니다.

그치만 두 번째 시음에서는 홉향이 가려지고 맥아의 단맛이 조청처럼 도드라져 인상이 달랐는데요.
그럼에도 플로럴한 향, 청량한 탄산감, 크리스피한 질감이 어우러져 논알콜 맥주 중에서도 완성도가 높은 제품으로 느껴졌습니다.

💡

B라거는?

“라거의 청량함과 에일의 풍미를 절묘하게 담아낸 논알콜 맥주로, 맥주의 복합적인 맛과 향을 즐기고 싶은 분들께 추천합니다!”

🗣️ 다른 사람들 리뷰도 보려면?

 👉🏻[Untappd 리뷰] 보러가기👈🏻 

3. 논알콜 맥주 특징

📌

’저알콜 발효’로 완성한 깊은 풍미

B라거의 정확한 세부 레시피는 비공개이지만,아티스트보틀클럽(ABC)과 협력사인 어프리데이의 공식 발언과 파트너 공법을 통해 제조 방식의 윤곽을 파악해 보겠습니다.

ABC는 어프리데이와의 협업 제품 개발에 “라거에 홉 비율을 높여 라거와 에일의 중간 느낌”을 의도했다고 밝혔으며, 이는 홉 아로마와 플레이버를 강조하는 라거 스타일을 목포료 했음을 의미합니다.

어프리데이의 논알콜 맥주 제조 철학은 향료 첨가나 가열 후 알코올을 제거하는 후처리 방식의 한계를 지적하고, 대신 독일산 맥아와 미국산 홉, 논알콜 전용 효모를 사용해 수제 맥주와 동일한 양조∙발효∙숙성 과정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저알콜로 수렴시키는 접근을 취합니다.

B라거는 이러한 철학을 따라 저알콜 발효 후 숙성 루틴을 거치는 것으로 추정되며, 진공 증류법이나 역삼투압 같은 ‘디알코올리제이션Dealcoholization(발효 후 알코올 제거) 공정보다는 저발효 설계를 메인으로 하고 있는 듯 합니다.

👉🏻 진공 증류법, 역삼투압, 저알콜 발효 등 논알콜 무알콜의 제조 방식이 궁금하시면 이 글을 보세요 👈🏻

📌

예술로 확장된 맥주, B라거의 브랜드 철학

B라거는는 단순한 상품이 아니라, ‘아트피스(Art Piece)’로 큐레이션된 논알콜 맥주라는 독특한 정체성을 구축하고 있는데요. 브랜드 슬로건 “Made by Artists, for Artists”가 보여주듯, 이들은 논알콜을 ‘결핍의 대체재’가 아닌 창조의 미학으로 재해석합니다. 즉, 마시지 못하는 술이 아니라, 새로운 미감과 경험을 제안하는 창작물로 보는 관점이라고 할 수 있죠.

이 철학은 마케팅 방식에서도 그대로 드러납니다. 연남동 쇼룸에서는 전시와 오프닝 리셉션을 열여 방문객에게 무료 시음과 전시 관람을 결합한 문화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또한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숏폼 콘텐츠, 할인 이벤트 B2B 도매 파트너쉽 등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통합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B라거를 단순한 제품이 아닌, 논알콜 맥주라는 낯선 영역을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포지셔닝하려는 시도로 읽힙니다.
about me

지독한 알코올 러버였지만, 건강 이슈로
무알콜∙논알콜의 세계를 탐구 중입니다.

술을 사랑하는 사람의 입맛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알콜∙논알콜 음료를 소개합니다.
건강을 지키면서 유쾌한 삶을 살아갑니다!

Send a message

궁금하신 부분이나 비즈니스 제안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0 comments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노알콜 무알콜 맥주 칭따오

칭따오 논알콜 맥주는 중국 칭다오맥주에서 2019년 출시한 무알콜 맥주입니다.
필스너 스타일로 만들어져서 드라이하고 깔끔한 맛이 특징인데요,
기존 칭따오의 맛을 잘 살렸다는 평가가 많아요.

저도 도수 부담 없이 집에서든 여행 가서든 자주 찾는 논알콜 맥주 중 하나입니다 🍺

1. 칭따오 논알콜 맥주 정보

1) 도수

0.03 이하

2) 원재료명

정제수, 보리맥아, 설탕, 홉, 천연향료(맥아향)

3) 구매처

온라인, 편의점, 대형마트 등 접근성이 좋음

4) 칼로리 등 영양 정보

↓↓↓↓↓↓↓↓↓↓

2. 칭따오 논알콜 맥주 테이스팅 노트

  • 술 유사도55
  • 바디감15
  • 당도20
  • 쓴맛20

🍺 맛과 향의 특징

‣ 맛
칭따오 0.0은 그렇게 달지 않은데, 살짝 꿀물 맛이 납니다.
꿀맛이 아닌 ‘꿀물맛’이 나는 이유는, 워터리한 맛과 섞여서 그런 것 같아요.

단맛과 아주 약간의 몰트 고소한 맛이 맥주의 느낌을 살려주고, .
피니시에는 약간 메탈릭한 맛이 있어서 더더욱 라거 맥주 같다는 느낌을 줍니다.

‣ 색과 거품
거품 지속력은 괜찮은 편이었어요.
색은 맑고 옅은 황금빛 색상이에요. 투명한 외관이 라거 맥주 스타일을 잘 보여줍니다!

‣ 향
솔직히 홉의 아로마향은 거의 느껴지지 않았어요.
전반적으로 향이 약한 편이고, 약간 메탈릭한 향이 살짝 나는 정도?
향을 크게 기대하긴 어려울 것 같아요

‣ 맛의 조화
탄산감이 적당하고 드라이한데요.
여기에 더해 바디감이 낮고 맛이 꽉 차지 않아 청량하게 먹기에는 최고의 논알콜 맥주 같습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워터리한 맛이 더 살아 맛이 좀 떨어지지만,
목넘김이 좋고 끝에 남는 맛이 없어 진정한 “캬-“를 느낄 수 있는 논알콜 음료예요.

💡

칭따오 맥주 0.0은?

“청량하고 깔끔한 목 넘김을 찾는다면, 칭따오 0.0 한 잔 어떠세요?”

🗣️ 다른 사람들 리뷰도 보려면?  👉🏻[Untappd 리뷰] 보러가기👈🏻 

3. 칭따오 논알콜 맥주 특징

📌

세계가 인정한 맛! 칭따오 0.0의 수상이력 🏆

칭따오 논알콜 맥주는 출시 이후 국내외에서 많은 인정을 받았는데요!
특히 세계적인 맥주 대회에서 화려한 수상 경력을 자랑합니다.

2021년 유럽 맥주 스타 대회에서 44개국 2,395개 맥주를 제치고
금메달🥇을 수상했고,  2025년 ‘맥주계의 올림픽’이라 불리는 월드 비어컵에서는 중국 맥주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역사를 만들었어요!

또한 미국 세계 맥주 챔피언십에서는 100점 만점에 94점을 받아 금메달을 거머쥐는 등, 칭따오 0.0의 맛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글로벌 무대를 사로잡은 칭따오의 마케팅 전략🗣️

칭따오 0.0은 디지털과 옥외광고를 중심으로 전 세계 젊은 층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2024년 “Hao Good Times Taste” 캠페인은 홍콩, 싱가포르, 호주 등 30여 개 지역에서 전개되며 7천만 회 이상의 노출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타겟은 건강을 중시하는 20~30대 라고 해요.
“즐거움은 그대로, 다음 날 부담은 없이”라는 메시지로 어필하고 있죠.

또한 국가별로 차별화된 전략도 눈에 띄는데요.
중국에서는 자국 기술력을 강조하고,
미국에서는 중국 설날 이벤트와 연계하며, 한국에서는 치맥 문화에 맞춘 프로모션을 펼치고 있다고 합니다.

about me

지독한 알코올 러버였지만, 건강 이슈로
무알콜∙논알콜의 세계를 탐구 중입니다.

술을 사랑하는 사람의 입맛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알콜∙논알콜 음료를 소개합니다.
건강을 지키면서 유쾌한 삶을 살아갑니다!

Send a message

궁금하신 부분이나 비즈니스 제안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0 comments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혜화맛집 대학로에 취하다 테이블비어 탭

논알콜∙무알콜 음료

린데만스 빼슈레제, 크롬바커 필스,
보테가 스파클링 로제 와인,
무알콜 모히토 하이볼, 무알콜 뱅쇼

오늘은 혜화에서 발견한 특별한 곳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저도수 알콜 맥주를 마실 수 있는 곳인데요. “대학로에 취하다”라는 펍 스타일 술집입니다.

📍 위치 & 접근성 혜화맥주맛 집 “대학로에 취하다”는 혜화역 1번과 2번 출구 사이에 위치해 있어요. 역에서 정말 가까워서 찾아가기 편한데요. 아쉽게도 자체 주차 공간은 없어서 근처 민영 주차장을 이용하셔야 해요.

내부는 캐주얼하면서도 널찍한 공간이라 2인부터 단체모임까지 부담없이 방문하기 좋더라고요!

🍺 다양한 주류・음료 메뉴

대학로에 취하다는 정말 다양한 주류 메뉴가 있는데요.
생맥주, 병맥주는 물론이고 수제 라거, 스타우트, 람빅, 수도원 맥주 등 드라이한 라거를 좋아하는 사람부터 마니아들까지 좋아할 만한 라인업이 가득해요.

맥주 외에도 와인, 하이볼, 위스키까지 있습니다!

저는 특히 논알콜 음료에 관심이 많아, 그 메뉴들을 집중적으로 살펴봤어요

🍻 논알콜 라인업

우선 테이블 비어 정도의 도수 2.5% 람빅 스타일, 린데만스 빼슈레제 생맥주가 있습니다.

테이블비어는 일반적으로 주류 도수가 약 2~3%대로 가볍게 즐기기 좋은 맥주를 말합니다.

그리고 논알콜 맥주 크롬바커 필스, 모히또와 뱅쇼 무알콜도 있습니다.
음료는 페리에 탄산수(플레인), 콜드메달 애플쥬스가 있습니다.

🧀 안주 메뉴

안주도 꽤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습니다.
저는 저녁을 먹고 가서 치즈 플레이트를 골랐어요.
치즈 2종류, 살라미, 올리브로 구성했고 땅콩도 함께 나왔는데, 맥주와 정말 잘 어울리는 조합이었어요!

🍻 시음 후기

크롬바커 필스 (최대0.5%)
독일의 양조사 Krombacher Brauerei GmbH & Co. KG에서 만든 필스터 스타일의 논알콜 맥주예요.
‘Alkoholfrei’ 제품이지만 실제 알코올 함량은 약 0.4~0.48%로, 독일 법상 최대 허용치인 0.5% 미만에 해당합니다.

크롬바커 필스는 물엿향과 맛이 강해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논알콜 맥주는 아닙니다.

고소한 옥수수콘 스낵 같은 맛과 함께 약간 메탈릭한 느낌도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맥주’보다는 ‘맥주 맛 음료’에 더 가까운 인상이었습니다.

그래도 안주와 함께 마시니 페어링이 잘돼서 나름 맛있게 즐겼습니다!

린데만스 빼슈레제 (2.5%)
벨기에의 Lindemans가 생산하는 과일 람빅 스타일의 저도수 맥주예요.
빼슈레제는 2.5%라 논알콜 맥주는 아니고, 테이블 비어로 분류되는데요.
우리나라에서 이런 저알콜 맥주를 탭으로 마실 수 있다는 게 너무 감동이었습니다.😭😭

산도와 복숭아 맛이 강한데, 인공적인 복숭아 주스나 통조림 맛에 가까워요.
또한 초산 느낌의 산도라서 정통 람빅 느낌은 아니고, 람빅 스타일 음료에 가까워 보였어요.
칵테일이라고 생각하면 충분히 맛있게 즐길 수 있을 것 같아요!
알코올이 살짝 있어서인지 미디엄 바디 정도의 무게감도 느껴졌고요.

나중에 찾아보니 기본 람빅 베이스에 복숭아 주스를 가미한 맥주라고 하더라고요
정통 람빅이라 기대하면 아쉬울 수 있지만,
그래도 저도수 람빅을 탭으로 마실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감격스러웠습니다.

💡 총평

혜화에 갈일이 있다면 앞으로도 자주 들를 것 같아요!
맥주를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꼭 한 번 방문해보시길 추천드려요.👍🏻
논알콜 무알콜 옵션도 있어서 술을 안 드시는 분들과 함께 가기에도 부담없는 곳이에요
혜화 맥주 맛집입니다 🌟

about me

지독한 알코올 러버였지만, 건강 이슈로
무알콜∙논알콜의 세계를 탐구 중입니다.

술을 사랑하는 사람의 입맛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알콜∙논알콜 음료를 소개합니다.
건강을 지키면서 유쾌한 삶을 살아갑니다!

Send a message

궁금하신 부분이나 비즈니스 제안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논알콜 무알콜_카스0.0_논알콜 맥주_Cass0.0

카스 0.0은 오비맥주(Oriental Brewwry)가 2020년에 출시한 논알콜 맥주입니다.
알코올 도수가 0.05% 미만으로, 사실상 무알콜 맥주에 가까운 제품인데요.

편의점은 물론 대형마트와 온라인몰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어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1. 카스 0.0 논알콜 무알콜 맥주 정보

1) 도수

0.05% 미만

2) 원재료명

정제수, 맥아(외국산: 호주, 캐나다, 독일 등), 전분(외국산: 러시아, 세르비아, 헝가리 등), 호프필렛(독일), 호프추출물, 당류가공품, 비타민 C, 합성향료(맥주향), 산도조절제, 효소제, 영양강화제 2종, 이산화탄소

3) 구매처

편의점, 대형마트, 온라인 등 접근성이 좋음

4) 칼로리 등 영양 정보

↓↓↓↓↓↓↓↓↓↓

2. 카스 0.0 논알콜 무알콜 맥주 테이스팅 노트

  • 술 유사도15
  • 바디감25
  • 당도40
  • 쓴맛40

🍺 맛과 향의 특징

‣ 맛
개인적으로 카스 0.0을 자주 찾는 편은 아닙니다. 가장 큰 이유는 단맛이 강하게 느껴지기 때문인데요.
물엿을 희석한 듯한 단맛에 비타민 음료의 단맛, 그리고 약간의 사탕류 단맛이 겹쳐 있습니다.
여기에 미묘한 산미도 느껴졌습니다.

주된 인상은 단맛과 쌉쌀한 쓴맛인데, 이 쓴맛이 맥주스럽긴 하지만 다소 불쾌하게 오래 남습니다.
단맛과 금속성 쓴맛이 조화를 이루지 못해 전체적인 밸런스가 불안정하게 느껴졌습니다.

‣ 색과 거품
색상은 호박빛으로 일반 맥주와 비슷하지만, 거품이 빠르게 사라져 시각적인 만족감은 아쉬웠습니다

‣ 향
향은 강하지 않지만, 은은한 플로럴 아로마와 달콤한 향이 살짝 느껴집니다.

‣ 맛의 조화
바디감은 약한 편으로 전반적으로 워터리한 인상이 있습니다.
맛의 깊이보다는 단맛과 메탈릭한 맛이 두드러져 풍미의 층이 얇게 느껴집니다.
다만, 아주 차갑게 마신다면 청량감 있는 음료로 즐길 수 있습니다.

저는 쓰리라차 소스를 곁들인 포케와 함께 마셔봤는데, 의외로 궁합이 좋았습니다.
단맛이 매운 음식의 자극을 중화시켜 주면서 균형을 잡아주더라고요.

💡

카스 0.0은?

“청량감은 있지만, 단맛이 호불호를 가르는 논알콜 맥주.”

🗣️ 다른 사람들 리뷰도 보려면?

 👉🏻[Untappd 리뷰] 보러가기👈🏻 

3. 카스 0.0 논알콜 무알콜 맥주 특징

📌

카스 0.0이니까 싹⎯ 가능

알코올은 0.0, 맛은 FRESH 100%”, “알코올을 뺐지만 맛은 그대로”와 같은 슬로건으로 풍미를 강조하며, 2025년 4월에는 ‘카스, 0.0이니까 싹(SSAC) 가능’ 캠페인을 선보였는데요.
뉴스 현장이나 병원 등 다양한 일상 공간에서 언제 어디서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했습니다.다.

광고는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디지털 채널뿐 아니라 지하철·옥외 광고로도 확장했어요.
특히 건강과 즐거움을 동시에 추구하는 MZ세대를 핵심 타깃으로 삼아, 점심시간이나 회식 자리에서도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포지셔닝하여, ‘헬시플레저’ 트랜드를 반영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

알코올은 줄이고, 맛은 그대로

카스 0.0은 전통 양조 공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즉 발효를 하고,
‘스마트 분리 공법’으로 알코올만 정교하게 제거한다고 합니다.

보리 맥아와 홉을 기본으로, 단맛과 탄산감을 위한 당류∙이산화탄소, 그리고 비타민C가 더해져 건강한 이미지를 강조했습니다.
소비자들은 “청량하고 깔끔하다”, “카스 본연의 맛이 살아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일부는 “우알콜 특성상 약간 밋밋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about me

지독한 알코올 러버였지만, 건강 이슈로
무알콜∙논알콜의 세계를 탐구 중입니다.

술을 사랑하는 사람의 입맛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알콜∙논알콜 음료를 소개합니다.
건강을 지키면서 유쾌한 삶을 살아갑니다!

Send a message

궁금하신 부분이나 비즈니스 제안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0 comments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논알콜 무알콜 맥주 하이네켄

하이네켄 논알콜 맥주
2017년 스페인 F1 그랑프리에서 처음 공개되었어요.

그 후 네덜란드를 비롯한 유럽 주요 국가를 시작으로 러시아, 이스라엘 등 14개 시장에 먼저 출시되었고,
2018년에는 캐나다, 2019년에는 미국으로 확대되면서 지금은 전 세계 100개국 이상에서 만나볼 수 있다고 합니다.

한국에서도 이제 하이네켄 논알콜 맥주는 아주 쉽게 볼 수 있죠.

편의점이나 대형마트 어디서든 눈에 잘 띄는 대표 논알콜 맥주예요.

저도 하이네켄 논알콜을 자주 마십니다.🍺
가볍고 청량감이 좋아 어떤 음식과도 잘 어울리고
, 여행 중이든 집에서든 부담 없이 손이 가는 맥주예요.

1. 하이네켄 논알콜 맥주 정보

1) 도수

0.03% 미만

2) 원재료명

정제수, 보리맥아, 호프추출물, 합성향료

3) 구매처

편의점, 대형마트, 온라인 등 구매 가능하여 접근성이 좋음

4) 칼로리 등 영양 정보

↓↓↓↓↓↓↓↓↓↓

2. 하이네켄 논알콜 맥주 테이스팅 노트

  • 술 유사도50
  • 바디감20
  • 당도30
  • 쓴맛45

🍺 맛과 향의 특징

strong>‣ 맛
첫 모금에서는 은은한 꽃향기와 함께 살짝 단맛이 느껴져요.
하이네켄 특유의 아카시아 꿀향 같은 단맛인데, 일반 맥주보다는 조금 밍밍하면서 호박엿 같은 단맛이 살짝 섞여 있습니다.

단맛이 과하지 않고, 그 사이로 살짝 메탈릭한 맛이 있어요.
피니쉬에 이 메탈릭한 쌉쌀한 여운이 남아 라거 맥주의 인상을 줍니다.

‣ 색과 거품
거품 지속력이 좋고 황금빛 라거 색상으로 외관은 맥주와 유사합니다.

‣ 향
플로럴한 향과 함께 아카시아 꿀향이 은은하게 올라옵니다.

‣ 맛의 조화
탄산감이 좋고 마무리가 드라이해서 라거의 청량함이 잘 느껴집니다.
바디감은 가볍지만, 오히려 시원하게 마시기엔 이게 장점이에요.

전반적으로 라거 느낌은 있지만, 일반 맥주에 비하면 물처럼 부드럽고 가벼운 편이죠.
끝에 남는 호박엿 같은 단맛이 살짝 있어서,
맥주라기보다 논알콜 음료에 가까운 인상이에요.

💡

하이네켄 0.0은?

“가볍지만 밋밋하진 않은 맛, 청량한 목넘김! 가벼운 라거를 좋아한다면 추천합니다👍🏻”

🗣️ 다른 사람들 리뷰도 보려면?

 👉🏻[Untappd 리뷰] 보러가기👈🏻 

3. 하이네켄 논알콜 맥주 특징

📌

어떻게 만들어질까? 하이네켄 0.0의 특별한 양조과정

하이네켄 0.0은 단순히 ‘알코올만 뺀 맥주’가 아니에요.
처음부터 무알코올 맥주로 설계된, 조금은 까다로운 양조 과정을 거친다고 합니다.

일반 맥주처럼 맥즙을 발효하지만,
두 가지 다른 배치를 각각 양조한 뒤 서로 섞는 블렌딩 방식이 핵심이에요.

이후 ‘진공 증류(vacuum distillation)’라는 기술을 사용해 낮은 온도에서 알코올만 부드럽게 제거합니다.
기압을 낮추면 알코올이 더 낮은 온도에서도 증발하기 때문에, 향이나 맛이 손상되지 않죠.

쉽게 말해, 끓이지 않고 향은 그대로 남긴 채 알코올만 살짝 날리는 정교한 과정이에요.
이런 기술 덕분에 하이네켄 0.0은 무알코올이면서도 맥주 본연의 풍미를 꽉 잡고 있습니다.

📌

누구에게나 열린 맥주, “Open to All”

하이네켄 0.0는 “Open to All(모두에게 열려 있는 맥주)”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맥주라는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회의 중이든, 점심 식사 중이든, 심지어 운전하기 전이라도 부담 없이 마실 수 있다는 점을 위트 있게 표현했죠.

초기 광고에서는 회의실이나 체육관 같은 ‘맥주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공간’에서도 하이네켄 0.0을 즐기는 장면들이 등장해 많은 공감을 얻었습니다.
이 캠페인은 절제된 음주, 균형 잡힌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요즘 트렌드와 맞물리며 “제한이 없는 맥주”라는 이미지를 확실히 각인시켰습니다.

달릴 땐, 하이네켄 0.0으로

하이네켄은 글로벌 스포츠 후원을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는 브랜드로도 유명하죠. 특히 포뮬러 1(F1)과의 협업은 하이네켄 0.0의 철학을 가장 잘 보여줍니다. “달릴 때는 절대 음주하지 마라(When You Drive, Never Drink)”라는 캠페인 슬로건 아래, F1 스타 맥스 페르스타펜이 직접 하이네켄 0.0의 얼굴로 나서며 음주운전 방지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2023년 일본 그랑프리에서는 경기장 내에 하이네켄 0.0이 정식 판매되기도 했어요. 이처럼 ‘운전할 땐 무알코올’을 강조하는 캠페인은 단순한 마케팅을 넘어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한, UEFA 챔피언스리그 같은 다른 대형 스포츠 이벤트에서도,
알코올 규제가 있는 나라에서는 0.0 브랜드를 전면에 내세우며 현지 맞춤형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죠.
about me

지독한 알코올 러버였지만, 건강 이슈로
무알콜∙논알콜의 세계를 탐구 중입니다.

술을 사랑하는 사람의 입맛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알콜∙논알콜 음료를 소개합니다.
건강을 지키면서 유쾌한 삶을 살아갑니다!

Send a message

궁금하신 부분이나 비즈니스 제안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0 comments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어프리데이_부족한녀석들_논알콜맥주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진심으로 애정하는 한국 맥주 브랜드,
“어프리데이(afreeday)”를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솔직히 한국에서 수제 논알콜 맥주 찾기 너무 어려운데, 어프리데이는 2021년에 설립돼서 진짜 맥주 같은 맛을 내는 크래프트 논알콜 맥주를 만들어내고 있어요.

국내 최초 논알콜 수제맥주 전문 스타트업이라는 타이틀을 가진, 정말 대단한 회사랍니다.

1. 기자 출신 대표가 맥주 회사를 만든 이유

어프리데이를 이끄는 황지혜 대표님의 이력이 참 독특한데요
맥주 업계와는 전혀 상관없는 배경입니다.
기자로 일하다가 국민연금 언론 홍보 담당까지 거친, 미디어 전문가였다 하네요.

이렇게 전혀 관계가 없는 업종에 있었는데 어떻게 맥주 회사를 만들게 됐을까요? .

맥주 애호가였던 황 대표님은 여러 나라를 다니며 맥주를 즐겼다고 해요.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세계 수제 맥주 시장을 관찰하게 됐죠.

이미 포화 상태인 시장이었지만, 의외로 눈에 띄는 논알콜 맥주 시장을 발견했습니다.

이 흐름이 곧 한국에도 올 거라 직감한 황 대표님은, 2021년 8월 법인을 세우고, 2022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논알콜 수제 맥주를 생산하기 시작했답니다.

2. 어프리데이, 어떤 회사인가요?

어프리데이를 만든 회사의 정식 이름은
‘주식회사 부족한녀석들’이에요.

본사와 양조장은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에 위치해 있어요.
논알콜 맥주만을 위한 전용 양조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

어프리데이가 지향하는 철학은 명확한데요.
“Alcohol Free Daily Life”예요.

“논알콜 맥주는 맛이 없다”는 편견을 깨부수고,
언제 어디서든 맥주 본연의 맛을 즐기면서도 건강한 일상을 유지하는 거죠.

2️⃣ 차별화된 경쟁력

부족한녀석들은
“수제 맥주와 똑같은 재료와 공정으로 만들어서 맥주의 맛과 향을 온전히 담아냈다”는 점을 강조하는데요.

실제로 주류 대회에서 탁월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대표 제품인 어프리데이 맥주들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대한민국 주류 대상 논알콜 맥주 부문에서 대상과 베스트오브상을 연이어 수상했어요.

현재는 논알콜 맥주에 집중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탄산수 등 다양한 음료 영역으로 제품군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3. 어프리데이, 어떤 맥주가 있나요?

1️⃣ 페일에일

출시 시기: 2022년
아메리칸 페일에일 스타일.
– 망고∙패션프루트 등 열대과일과 시트러스 아로마가 두드러지는 맛.
-미국산 프리미엄 홉과 드라이 호핑 공법으로 홉 향 극대화 .

2️⃣ 스타우트

-출시 시기: 2023년
아이리시 스타우트 스타일.
-커피∙초콜릿∙토스트 풍미가 묵직하게 느껴지는 흑갈색 논알콜 맥주.

3️⃣ 벨지안 위트

-출시 시기: 2023년
벨기에 전통 밀맥주(Witbier) 스타일.
-고수 씨앗과 건조 오렌지껍질로 균형 잡힌 시트러스 아로마와 부드러운 거품이 특징.

4️⃣ IPA

-출시 시기: 2025년
헤이지(Hazy) 스타일 IPA. 국내 최초로 선보이는 논알콜 IPA
-쓴맛을 줄이지 않고 망고∙패션프루트 등 풍성한 열대과일 풍미를 살린 과일 향이 특징.

5️⃣ 라거

출시 시기: 2025년
필스너 계열의 라거 스타일
-‘노블 홉’이라 불리는 체코산 사즈홉을 사용해 허브 향과 적당한 쌉싸름함 구현

4. 어프리데이 맥주, 어떻게 만드나요?

어프리데이의 모든 맥주는 일반 수제 맥주와 똑같은 방식으로 양조 돼요.
인공첨가물은 일절 없고, 홉∙맥아∙효모∙물 같은 천연 재료만 사용하죠.

페일에일이나 스타우트 같은 맥주에는 미국산과 독일산 프리미엄 홉과 맥아를 넣어 풍미를 끌어올렸고, 발효가 끝난 뒤에도 홉을 한 번 더 넣은 드라이호핑(Dry Hopping) 방식으로 향을 더 깊게 살렸어요.

또한, 특수 효모를 사용해 알코올 생성 자체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최종 알코올 도수는 0.4~0.5% 미만으로 유지됩니다.

이 과정에서도 효모가 살아있는 상태로 발효되기 때문에, 신선한 수제맥주 특유의 맛이 그대로 살아있죠.

벨지안 위트 스타일의 맥주는
고수씨와 오렌지 껍질을 더해, 전통 밀맥주 특유의 화사하고 상큼한 향을 완성했습니다.

5. 어프리데이, 어디서 살 수 있을까?

어프리데이를 만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부족한녀석들의 자사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예요.

오프라인에서 직접 만나고 싶다면 홍대, 성수, 가로수길 같은 서울의 핫한 상권이나 부산, 울산 등에 있는 펍과 이자카야 20여 곳에서도 만날 수 있어요.

최근에는 올리브영 매장에도 입점을 시작했고요.

제가 예전에 소개했던 아티스트보틀클럽에서도 판매하고 있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이 글을 확인해 보세요!🖱️)

6. 어프리데이는 누구를 위한 맥주일까?

어프리데이의 주요 타겟은
건강관리∙다이어트∙육아 등의 이유로 음주를 자제하면서도 주 맛은 포기하고 싶지 않은 성인 남녀예요.

운동 후에도, 자기관리 중에도, 육아하면서도, 레저를 즐길 때도 부담 없이 맥주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도록 제품을 개발해 왔다고 해요.

특히 술에 약한 분들이나 임산부,
건강을 챙기는 2030 직장인들
에게 딱이죠!

마케팅은 주로 입소문과 이벤트
진행하고 있어요.

SNS 등을 통해 맥주 축제나 박람회 참가 소식, 수상 이력 같은 것들을 공유하면서 자연스럽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습니다.

about me

지독한 알코올 러버였지만, 건강 이슈로
무알콜∙논알콜의 세계를 탐구 중입니다.

술을 사랑하는 사람의 입맛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알콜∙논알콜 음료를 소개합니다.
건강을 지키면서 유쾌한 삶을 살아갑니다!

Send a message

궁금하신 부분이나 비즈니스 제안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0 comments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논알콜맥주_삿포로드래프티0.7

삿포로 드래프티 0.7(Sapporo The Drafty 0.7/サッポロ ザ・ドラフティ)은 일본의 대표 맥주회사 삿포로(Sapporo)에서 2021년 출시한 알코올 도수 0.7%의 논알콜 맥주입니다.

기존의 논알콜 맥주가 보통 0.03~0.5% 수준의 미량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과 달리,
드래프티는 “0.7%”로 약간 더 높은 도수를 가지고 있어 믾은 사람의 주목을 받았던 제품입니다.

제품명에 ‘Draft’를 사용해 소비자들이 직관적으로 ‘맥주’를 떠올릴 수 있도록 의도했다고 합니다.
“The Drafty”라는 이름에는
“알코올이 낫지만, 맥주다운 드래프트(生맥주) 본연의 맛을 지닌 새로운 장르의 맛있는 제품”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데요.

제품명에 ‘Draft’를 사용해 소비자들이 직관적으로 ‘맥주’를 떠올릴 수 있도록 의도했다고 합니다.

1. 삿포로 드래프티 논알콜 맥주 정보

1) 도수

0.7%

2) 원재료명

맥아, 홉, 수용성 식이섬유, 과당포도당액당, 탄산, 산미료

3) 구매처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음

4) 칼로리 등 영양 정보

↓↓↓↓↓↓↓↓↓↓

2. 삿포로 드래프티
논알콜 맥주 테이스팅 노트

  • 술 유사도75
  • 바디감38
  • 당도20
  • 쓴맛65

🍺 맛과 향의 특징

‣ 맛
삿포로 드래프티 논알콜 맥주는 두 번 시음 해봤는데요.

첫 번째 시음에서는 자연스러운 홉 향과 몰트의 감칠맛이 잘 어우러져,
맥주 특유의 쌉쌀함과 메탈릭한 맛,
드라이한 목넘김
이 느껴졌습니다.
마시다 보니 한국식 라거가 연상됐습니다.

그러나 두 번째 시음은 좀 달랐는데요.
워터리한 밍밍함이 있고, 쓴맛도 좀 튀었습니다.

해외 배송 중 온도 관리가 완벽하지 않아 맛이 변했을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맛의 편차가 있었기에, 조만간 다시 한번 시음해 볼 예정입니다. 🍺

‣ 색과 거품
거품은 밀도가 낮고 금세 사라지는 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부드러운 거품을 선호하기 때문에 거품은 다소 아쉬웠습니다.
색상은 황금빛-짙은 호박색으로 일반 맥주와 유사합니다.

‣ 향

홉의 향미가 강해 맥주다운 인상을 주지만,
향의 섬세함이나 밸런스는 다소 부족한 편입니다.

‣ 맛의 조화 로스팅된 몰트의 구수함, 플로럴한 홉향, 적절한 쓴맛이 어우러져 맥주 본연의 구조감을 잘 살렸습니다.

시간이 지나 식으면 맛이 약간 떨어지고 호박엿 같은 단맛이 남지만, 전체적인 밸런스는 매우 안정적이에요.

홉의 쌉싸름함과 몰트의 감칠맛이 어우러져 맛의 빈틈이 없는데요. 바디감은 중간 정도로, 탄산감이 강해 청량한 음료의 느낌도 납니다.
💡

삿포로 드래프티 0.7 ?

✅ 맥주의 쌉쌀함을 좋아하는 분께 추천!
❌ 하지만 부드럽고 달콤한 논알콜을 선호하는 분에겐 비추천입니다.

🗣️ 다른 사람들 리뷰도 보려면?

 👉🏻[Untappd 리뷰] 보러가기👈🏻 

3. 삿포로드래프티 논알콜 맥주 특징

📌

’진짜 맥주’로 만든 미알코올

일반적인 무알콜 맥주는 발효를 생략하거나 향만 추출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삿포로 드래프티는 실제 맥주처럼 발효한 뒤, 알코올만 줄이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정확한 제조 세부 공정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진공 증류(Vacuum Distillation) 또는 멤브레인 여과(Membrane Filtration) 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해요.

또한, 알코올 제거로 인해 약해질 수 있는 맛을 보완하기 위해
수용성 식이섬유와 과당포도당액당(옥수수 시럽) 을 첨가했습니다.

👉🏻 식이섬유는 질감을 부드럽게 하고 거친 쓴맛을 완화
👉🏻 옥수수 시럽은 발효를 조절하며 부족해진 맥아의 단맛을 보완

📌

세 번의 홉 투여, 영하 숙성

2023년 리뉴얼 이후, 삿포로 드래프티 논알콜 맥주는 홉을 세 단계에 나누어 투여하는 공정을 도입했어요.
이는 실제 맥주 양조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쓴맛, 풍미, 향을 단계적으로 살려냅니다.

또한, 영하 숙성(Cold Conditioning) 을 통해 잡미를 제거하면서도 맥아의 풍미를 살렸는데요.

특히 알코올이 거의 없는 미알코올 맥주는 맛이 쉽게 퍼질 수 있는데,
영하 숙성 덕분에 깔끔하고 정돈된 맛의 프로필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1️⃣ 초기 비등 시: 쓴맛을 입혀요.
2️⃣ 중간 발효: 풍미를 끌어내요.
3️⃣ 마지막 숙성 단계: 홉의 향을 입체적으로 살려내요.

📌

맥주를 좋아하지만, 취하기는 싫은 사람들을 위한 선택

삿포로 드래프티 0.7은 “맥주는 좋아하지만 자주는 못 마시는 사람들”을 위한 새로운 논알콜 맥주입니다. 알코올은 줄이지만 맛은 포기하지 않는 것이 삿포로의 목표였죠.

다음 날의 업무나 다이어트, 건강 문제로 망설이던 이들이 부담 없이 맥주 맛을 즐길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하려 했던 겁니다.

광고에서는 일본의 개그 듀오 사마즈가 등장해 “노알코올과는 완전히 다르다!”는 메시지를 유쾌하게 전하며, 단 0.7%의 알코올이 주는 진짜 맥주 맛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0.00%로는 부족했던 만족감을 0.7%로 채운다”는 카피는 공감을 얻었습니다.

출시 이후 드래프티는 논알콜 맥주는
일본 전역의 편의점, 슈퍼, 돈키호테, 아마존재팬 등에서 판매되며 접근성을 크게 높였고,
삿포로는 이 제품을 통해 ‘미알코올(微アルコール)’이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개척했습니다.

덕분에 드래프티는 건강을 챙기면서도 맥주의 맛과 기분을 포기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가벼운 맥주의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about me

지독한 알코올 러버였지만, 건강 이슈로
무알콜∙논알콜의 세계를 탐구 중입니다.

술을 사랑하는 사람의 입맛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알콜∙논알콜 음료를 소개합니다.
건강을 지키면서 유쾌한 삶을 살아갑니다!

Send a message

궁금하신 부분이나 비즈니스 제안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0 comments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맥주의 알코올 함량에 따라 논알콜 무알콜 맥주로 구분하는데요.
일반적으로 무알콜 맥주는 알코올 함량이 전혀 없는 0.00%, 논알콜 맥주 미량의 알코올(보통 0.5%이하)을 함유한 맥주를 뜻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논알콜 무알콜의 제조 방식에 대해서 얘기하려고 합니다.
제조하는 법을 알면 더 맛있게 먹을 수 있게 되거든요 🧚

👉🏻 논알콜 무알콜 차이의 자세한 내용은 이 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1. 무알콜 맥주 제조 ❶ : 발효 후 알코올 제거

1) 진공 증류법 

“Dealcoholization”이라고도 불리는 이 방법은,
일반 맥주와 동일하게 발효 과정을 거쳐 알코올이 포함된 맥주를 먼저 만든 뒤, 마지막 단계에서 알코올만 골라서 제거합니다.

그럼 어떻게 알코올만 제거할까요?
대표적인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진공 증류법은 완성된 맥주를 가열해 알코올만 증발시키는 방식인데요.
여기서 핵심은 그냥 끓이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진공 상태에서 낮은 온도로 가열하는 것입니다.
에탄올은 보통 약 78℃에서 끓지만, 진공 상태에서는 30~50℃ 정도의 훨씬 낮은 온도에서도 휘발합니다.

🍺 덕분에 맥주의 풍미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알코올을 제거할 수 있죠.
현장에서는 낙하막 증발기나 스피닝 콘 칼럼(Spinning Cone Column) 같은 장비가 활용됩니다.

아쉬운 점은 알코올과 함께 맥주 특유의 향도 사라지는데, 최근에는 증발된 향을 포집했다 다시 되돌려 넣는 기술로 풍미 저하를 보완한다고 합니다.

👍🏻 장점: 알코올을 0.05% 미만까지 확실하게 제거 가능
👎🏻 단점: 열에 의한 풍미 손실, 약간의 산화, 장비 투자 비용이 큼

대표적으로 하이네켄 0.0, 에딩거(Erdinger), 벡스(Beck’s) 등이 이 방식을 사용합니다.

2) 맴브레인 여과법

열을 가하지 않고 “특수 분리막(멤브레인)”으로 알코올만 선택적으로 걸러내는 방법인데요. 가장 많이 쓰이는건 “역삼투압(reverse osmosis)”입니다. 고압을 이용해 맥주를 반투과성 막으로 밀어내면, 물과 에탄올 같은 작은 분자들만 막을 통과하고, 당류나 풍미 성분들은 막에 걸러지는 거죠.

이때 걸러진 농축 맥주(알코올이 제거된 부분)를 따로 모아두고, 막을 통과한 물 부분에서는 알코올만 제거한 후 다시 섞어서 최종 무알콜 맥주를 완성합니다.

👍🏻 장점: 열을 쓰지 않아 풍미 유지력이 뛰어나 라거 같은 섬세한 맥주에 유리
👎🏻 단점: 알코올을 극도로 낮추려면 여러번 여과해야 해서 물∙에너지 소비가 크고, 설비 비용이 높음

이 외에도 투석 여과(dialysis), 퍼베이퍼레이션(pervaporation) 같은 기술도 연구되고 있다고 합니다.

2. 무알콜 맥주 ❷ : 발효 억제 방식

앞서 소개한 알코올 제거 제조가 ‘완성된 맥주에서 알코올을 빼는’ 방식이라면,
이번에 알아볼 발효 억제 방식은 처음부터 알코올이 거의 생기지 않도록 발효 과정 자체를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전문적으로는 Limited Fermentation 또는 Arrested Fermentation이라고 부릅니다.
쉽게 말해 애초에 술이 안 되게 만드는 방식이죠.

발효 억제 방식은 대표적인 네 가지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저온 발효 

“저온 발효(Cold Fermentation)”는 효모가 활동하기 어려운 저온 환경에서 아주 느리게 발효를 진행시키는 방법입니다.

5℃ 전후의 낮은 온도에서 발효를 진행하면, 알코올이 거의 생성되지 않고 도수는 0.5% 미만에 머무르게 됩니다.

이 방식은 ‘콜드 컨택 발효’라고도 부르는데, 핵심은 효모와 맥즙(Wort)이 최대한 오래 접촉할 수 있도록 서서히 순환시켜주는 거예요.
그 과정에서 효모가 맥즙 특유의 날곡물 냄새를 일부 제거하고, 동시에 발효 특유의 향을 조금씩 만들어 내죠.

🍺 결과적으로 알코올은 거의 없지만,
장시간 효모와 함께 숙성되어 일반 맥주에 가까운 풍미를 낼 수 있습니다.

👍🏻 장점: 알코올을 최소화하면서도 발효 향과 숙성된 풍미를 어느 정도 확보
👎🏻 단점: 발효 속도가 느리고 효율이 낮으며, 온도 제어와 재순환 장치 등 추가 관리 필요

2) 발효 중단

“발효 중단(Arrested Fermentation)”은 발효를 어느 정도 진행시켜서 향과 맛이 형성되면, 알코올 도수가 많이 올라가기 전에 발효를 강제로 중단시키는 방법입니다.
보통 알코올이 0.3~0.5%쯤 될 때 급속 냉각하거나 효모를 여과∙분리해 발효를 정지시킵니다.

🍺 맥즙에 당분은 많이 남아있지만 더 이상 알코올이 생기지 않으니까, 이 상태에서 탄산을 보충해서 제품으로 만드는 거죠.

👍🏻 장점: 기존 양조 설비에서도 쉽게 적용 가능하고, 공정이 비교적 간단해 비용 부담이 적음
👎🏻 단점: 잔당이 많이 남아 단맛과 ‘미숙한 맥즙 맛’이 남기 쉬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홉 추출물이나 향료를 추가로 넣어서 단맛을 상쇄하고 풍미를 보완하기도 합니다.
미국의 O’Doul’s나 캐나다의 Budweiser Prohibition Brew 같은 제품들이 이런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특수 효모 사용

일반 효모 대신 알코올을 거의 만들지 않는 특수 균주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대표적으로는 맥아당을 발효하지 못하는 효모들이 연구되고 있는데요.
예를 들어 Saccharomyces 속의 일반 균주나 Saccharomycodes ludwigii 같은 효모는 맥아당을 거의 분해하지 못해 알코올이 거의 생성되지 않습니다.

🍺 발효 후 알코올이 0.5% 미만에 그치고, 대신 글리세롤 등을 만들어 맥주에 부드러운 단맛과 점도를 부여합니다.

👍🏻 장점: 기존 설비 그대로 사용 가능해 소규모 브루어리도 적용이 용이하고,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효모 등장으로 풍미가 개선
👎🏻 단점: 잔당이 많이 남아 단맛이 강하고, ‘맥즙스러운’ 맛이 남을 수 있음.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과일향 에스터를 만드는 균주를 함께 사용하거나, 위트의 투박한 맛을 가리는 향료를 첨가하기도 합니다.

4) 호기성 발효

가장 첨단 방식인 호기성 발효효모를 일부러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 배양해 알코올 대신 향만 내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일부 특수 효모는 산소가 충분하면 알코올을 만들지 않고, 대신 호흡 대사로 전환해 향만 만들어냅니다.

🍺 결과적으로 알코올 0.0%이면서도 맥주다운 숙성 향을 낼 수 있습니다.

👍🏻 장점: 발효 중 생성되는 향 성분 덕분에 풍미가 우수
👎🏻 단점: 지속적인 멸균 공기 공급이 필요하므로 공정 제어 난이도가 높고,설비 투자 비용과 운영 관리 부담이 큼

현재 이 기술은 파일럿 단계로, 설비 회사들이 관련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고 합니다.

3. 무알콜 맥주 ❸ : 비발효 방식

앞서 소개한 알코올 제거 방식과 발효 억제 방식은 모두 발효 과정을 거치지만, 이번 방식은 아예 발효 자체를 생략하는 방법이예요.
맥아와 홉 추출물을 블렌딩해 탄산음료처럼 만들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맥주’라기보다는 맥주맛 음료에 가깝죠.

발효가 없으니 알코올이 전혀 생기지 않아 완벽한 0.00% 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임산부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죠.

💡 비발효 방식의 핵심 원리

일반 맥주는 발효 과정에서 에탄올과 에스터가 생겨 복합적인 풍미를 내지만, 이 방식은 발효 풍미가 없으니 다른 재료로 이를 구현해야 겠죠.
대표적인 기법은 다음과 같아요.

1️⃣ 맥아 풍미 구현
맥아를 끓여 얻은 맥아즙 추출액을 사용합니다.
예: 하이트진로 하이트 제로 0.00은 첫 번째로 나온 ‘1번 맥아즙’만 사용해 잡맛 없이 깔끔한 보리 풍미 강조

2️⃣ 홉 풍미 강화
홉을 끓이지 않으므로 홉오일이나 이소알파산 추출물을 첨가합니다.
예: 하이트제로 0.00은 독일 할러타우(Hallertau) 아로마 홉 100% 사용. 비터 홉 대비 2배 사용해 홉 향 강화.

3️⃣ 산미∙감미 조절 
발효가 없으면 깔끔함이 부족하기 때문에 유기산(구연산 등)을 넣어 산미를 더하고, 경우에 따라 감미료로 단맛을 보완합니다.
예) 산토리 All-Free는 설탕이나 맥아당 없이 합성 감미료로 단맛을 살림.

4️⃣ 기타 풍미 소재
구수한 맛을 위해 로스팅 보리나 효모 추출물을 넣기도 하고, 올리고당을 활용해 쌉쌀함이나 상쾌함을 더하기도 합니다.
예: 일본 기린 프리는 쓴맛을 모방하기 위해 겐티오올리고당 첨가

🧐 장점과 단점

👍🏻 장점
-알코올이 전혀 생기지 않아 완벽한 0.00% 실현
-제조 과정이 단순하고 발효 시간이 필요 없어 빠른 생산 가능
-임산부도 마실 수 있음
-칼로리를 낮게 설계할 수 있어 제로 칼로리 제품 출시 가능

👎🏻 단점
-발효 부산물 풍미가 없어 실제 맥주와 맛 차이가 느껴짐
-첨가물이 많아 전통적 의미의 “맥주”로 인정받기 어려움
-맥주 매니아에게는 다소 ‘맥주 탄산음료’처럼 느껴질 수 있음

🧚 논알콜 무알콜, 생각보다 제조 방법이 다양하죠?
저는 요즘 시음하면서 이 제품은 어떤 제조 방법이었을지를 유추하면서 맛을 보는데요.

나중에 찾아봤을 때, 생각한 것과 같아도 좋고, 다르다면 또 왜 그렇게 느낀건지 찾아보면서 재미를 찾아요!

about me

지독한 알코올 러버였지만, 건강 이슈로
무알콜∙논알콜의 세계를 탐구 중입니다.

술을 사랑하는 사람의 입맛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알콜∙논알콜 음료를 소개합니다.
건강을 지키면서 유쾌한 삶을 살아갑니다!

Send a message

궁금하신 부분이나 비즈니스 제안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0 comments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Newer Posts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