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맥주

논알콜맥주_삿포로드래프티0.7

삿포로 드래프티 0.7(Sapporo The Drafty 0.7/サッポロ ザ・ドラフティ)은 일본의 대표 맥주회사 삿포로(Sapporo)에서 2021년 출시한 알코올 도수 0.7%의 논알콜 맥주입니다.

기존의 논알콜 맥주가 보통 0.03~0.5% 수준의 미량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과 달리,
드래프티는 “0.7%”로 약간 더 높은 도수를 가지고 있어 믾은 사람의 주목을 받았던 제품입니다.

제품명에 ‘Draft’를 사용해 소비자들이 직관적으로 ‘맥주’를 떠올릴 수 있도록 의도했다고 합니다.
“The Drafty”라는 이름에는
“알코올이 낫지만, 맥주다운 드래프트(生맥주) 본연의 맛을 지닌 새로운 장르의 맛있는 제품”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데요.

제품명에 ‘Draft’를 사용해 소비자들이 직관적으로 ‘맥주’를 떠올릴 수 있도록 의도했다고 합니다.

1. 삿포로 드래프티 논알콜 맥주 정보

1) 도수

0.7%

2) 원재료명

맥아, 홉, 수용성 식이섬유, 과당포도당액당, 탄산, 산미료

3) 구매처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음

4) 칼로리 등 영양 정보

↓↓↓↓↓↓↓↓↓↓

2. 삿포로 드래프티
논알콜 맥주 테이스팅 노트

  • 술 유사도75
  • 바디감38
  • 당도20
  • 쓴맛65

🍺 맛과 향의 특징

‣ 맛
삿포로 드래프티 논알콜 맥주는 두 번 시음 해봤는데요.

첫 번째 시음에서는 자연스러운 홉 향과 몰트의 감칠맛이 잘 어우러져,
맥주 특유의 쌉쌀함과 메탈릭한 맛,
드라이한 목넘김
이 느껴졌습니다.
마시다 보니 한국식 라거가 연상됐습니다.

그러나 두 번째 시음은 좀 달랐는데요.
워터리한 밍밍함이 있고, 쓴맛도 좀 튀었습니다.

해외 배송 중 온도 관리가 완벽하지 않아 맛이 변했을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맛의 편차가 있었기에, 조만간 다시 한번 시음해 볼 예정입니다. 🍺

‣ 색과 거품
거품은 밀도가 낮고 금세 사라지는 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부드러운 거품을 선호하기 때문에 거품은 다소 아쉬웠습니다.
색상은 황금빛-짙은 호박색으로 일반 맥주와 유사합니다.

‣ 향

홉의 향미가 강해 맥주다운 인상을 주지만,
향의 섬세함이나 밸런스는 다소 부족한 편입니다.

‣ 맛의 조화 로스팅된 몰트의 구수함, 플로럴한 홉향, 적절한 쓴맛이 어우러져 맥주 본연의 구조감을 잘 살렸습니다.

시간이 지나 식으면 맛이 약간 떨어지고 호박엿 같은 단맛이 남지만, 전체적인 밸런스는 매우 안정적이에요.

홉의 쌉싸름함과 몰트의 감칠맛이 어우러져 맛의 빈틈이 없는데요. 바디감은 중간 정도로, 탄산감이 강해 청량한 음료의 느낌도 납니다.
💡

삿포로 드래프티 0.7 ?

✅ 맥주의 쌉쌀함을 좋아하는 분께 추천!
❌ 하지만 부드럽고 달콤한 논알콜을 선호하는 분에겐 비추천입니다.

🗣️ 다른 사람들 리뷰도 보려면?

 👉🏻[Untappd 리뷰] 보러가기👈🏻 

3. 삿포로드래프티 논알콜 맥주 특징

📌

’진짜 맥주’로 만든 미알코올

일반적인 무알콜 맥주는 발효를 생략하거나 향만 추출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삿포로 드래프티는 실제 맥주처럼 발효한 뒤, 알코올만 줄이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정확한 제조 세부 공정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진공 증류(Vacuum Distillation) 또는 멤브레인 여과(Membrane Filtration) 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해요.

또한, 알코올 제거로 인해 약해질 수 있는 맛을 보완하기 위해
수용성 식이섬유와 과당포도당액당(옥수수 시럽) 을 첨가했습니다.

👉🏻 식이섬유는 질감을 부드럽게 하고 거친 쓴맛을 완화
👉🏻 옥수수 시럽은 발효를 조절하며 부족해진 맥아의 단맛을 보완

📌

세 번의 홉 투여, 영하 숙성

2023년 리뉴얼 이후, 삿포로 드래프티 논알콜 맥주는 홉을 세 단계에 나누어 투여하는 공정을 도입했어요.
이는 실제 맥주 양조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쓴맛, 풍미, 향을 단계적으로 살려냅니다.

또한, 영하 숙성(Cold Conditioning) 을 통해 잡미를 제거하면서도 맥아의 풍미를 살렸는데요.

특히 알코올이 거의 없는 미알코올 맥주는 맛이 쉽게 퍼질 수 있는데,
영하 숙성 덕분에 깔끔하고 정돈된 맛의 프로필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1️⃣ 초기 비등 시: 쓴맛을 입혀요.
2️⃣ 중간 발효: 풍미를 끌어내요.
3️⃣ 마지막 숙성 단계: 홉의 향을 입체적으로 살려내요.

📌

맥주를 좋아하지만, 취하기는 싫은 사람들을 위한 선택

삿포로 드래프티 0.7은 “맥주는 좋아하지만 자주는 못 마시는 사람들”을 위한 새로운 논알콜 맥주입니다. 알코올은 줄이지만 맛은 포기하지 않는 것이 삿포로의 목표였죠.

다음 날의 업무나 다이어트, 건강 문제로 망설이던 이들이 부담 없이 맥주 맛을 즐길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하려 했던 겁니다.

광고에서는 일본의 개그 듀오 사마즈가 등장해 “노알코올과는 완전히 다르다!”는 메시지를 유쾌하게 전하며, 단 0.7%의 알코올이 주는 진짜 맥주 맛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0.00%로는 부족했던 만족감을 0.7%로 채운다”는 카피는 공감을 얻었습니다.

출시 이후 드래프티는 논알콜 맥주는
일본 전역의 편의점, 슈퍼, 돈키호테, 아마존재팬 등에서 판매되며 접근성을 크게 높였고,
삿포로는 이 제품을 통해 ‘미알코올(微アルコール)’이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개척했습니다.

덕분에 드래프티는 건강을 챙기면서도 맥주의 맛과 기분을 포기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가벼운 맥주의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about me

지독한 알코올 러버였지만, 건강 이슈로
무알콜∙논알콜의 세계를 탐구 중입니다.

술을 사랑하는 사람의 입맛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알콜∙논알콜 음료를 소개합니다.
건강을 지키면서 유쾌한 삶을 살아갑니다!

Send a message

궁금하신 부분이나 비즈니스 제안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0 comments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산토리 올프리(Suntory ALL-FREE)는 일본의 대표적인 주류 회사 산토리(Suntory)에서 2010년에 출시한 무알콜 맥주입니다.

이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세계 최초로 알코올∙칼로리∙당질이 없는 ‘3ZERO’를 실현했다는 점입니다. 출시 당시 일본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며 무알콜 맥주 시장을 석권했을 정도였죠.

현재까지도 일본 내에서 높은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산토리 올프리는 일본 무알콜 맥주를 검색할 때 항상 상위권에 랭크되는 스테디셀러 제품입니다.

1. 산토리 올프리 무알콜 맥주 정보

1) 도수

0.00% 무알콜

 

2) 원재료명

맥아(외국산), 홉/홉 추출물, 향료, 산미료, 캐러멜색소, 비타민C, 감미료, 조미료(아세설팜K)

 

3) 구매처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음

 

4) 칼로리 등 영양 정보

↓↓↓↓↓↓↓↓↓↓

2. 산토리 올프리 테이스팅 노트

  • 술 유사도35
  • 바디감30
  • 당도35
  • 쓴맛35

🍺 맛과 향의 특징

‣ 맛

올프리는 홉이나 맥아에서 기대할 만한 깊은 풍미가 약하고, 살짝 인공적인 단맛이 느껴져 맥주다운 맛은 부족한 편입니다.
대신 금속성의 떫고 쓴 뒷맛이 남아 오히려 한국식 라거를 연상시키는 면이 있었죠.
덕분에 단순한 소다보다는 맥주 분위기를 살린 청량한 음료라는 인상이 강했습니다.

‣ 색과 거품
잔에 따르면 황금빛 색상에 흰 거품이 올라와 시각적으로는 맥주와 꽤 비슷합니다.
거품은 부드럽다기보단 성글지만, 유지력은 나쁘지 않았습니다.

‣ 향
맛에서는 드러나지 않았던 홉향이 향에서는 확실히 살아있습니다.
특히 시트러스 계열의 산뜻한 향이 강하게 느껴져 첫인상부터 상쾌했습니다.

‣ 맛의 조화:
올프리 무알콜 맥주는 강렬한 개성은 없지만, 그만큼 부담 없는 깔끔함이 장점입니다.
드라이하고 깔끔하며, 가벼운 바디감과 적당한 탄산 덕분에 끝까지 산뜻하게 마실 수 있었는데요.

아주 가볍지만 워터리하게 묽은 느낌은 적었고, 특히 무알콜 맥주에서 자주 느껴지는 ‘맥즙 맛’이나 ‘비타민 맛’이 없어서 좋았습니다. 억지로 맥주를 흉내 내다가 실패한 무알콜 맥주들보다는, 차라리 맥주 느낌의 청량한 음료라는 포지션이 훨씬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다만, 진짜 맥주의 묵직한 풍미를 좋아한다면 살짝 아쉬울 수도 있습니다.
저는 원래 맥주 본연의 풍미를 잘 살린 ‘맥주와 유사도가 높은 무알콜 맥주’를 선호하는 편이라, 제 취향과는 조금 거리가 있었거든요.

💡 산토리 올프리는?

“맥주 같진 않지만 맥주 느낌이 나는 청량한 무알콜 음료”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시원하고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무알콜 음료를 찾는 분
🍺 라거의 청량감을 좋아하는 분
🍺 칼로리 0, 당질 0으로 다이어트 중인 분들께 맥주 대안으로 추천합니다:)

🗣️ 다른 사람들 리뷰도 보려면?

 👉🏻[Untappd 리뷰] 보러가기👈🏻 

3. 산토리 올프리 무알콜 맥주 특징

📌

산토리 올프리의 탄생 배경

2010년, 일본에서는 음주 운전 규제 강화와 건강 지향 트렌드가 맞물리면서 무알콜 맥주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산토리는 2009년 키린 맥주의 “키린 프리(Kirin Free)”에 대응하여 2010년 “알코올∙칼로리∙당질 0%”라는 3ZERO를 구현한 올프리를 출시했는데요.
이전에 출시한 “파인 제로(Fine Zero)”가 칼로리와 당질이 남아 있었던 것과 달리, 올프리는 완벽한 3ZERO로 차별화에 성공했습니다.

📌

폭발적 인기와 해외 진출

출시 직후 올프리는 판매량이 폭발하며 일시 판매 중단을 선언할 정도였는데요.
같은 해 9월 생산라인을 늘려 재출시하며 무알콜 맥주 시장 1위를 차지했고, 2011~2015년까지 5년 연속 1위를 지켰습니다.

해외 진출도 시도했는데요. 2020년부터 미국 시장에 “일본산 스파클링 몰트 & 홉 음료”로 소개되며, 산토리 위스키의 명성을 활용해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건강 트렌드에 민감한 소비자층의 호평을 받았으나, 현지 맥주와의 맛 차이는 여전히 도전 과제로 남아 있다고 합니다.

📌

올프리의 독자적인 제조 방식

올프리는 일반 맥주 양조법에서 발효 과정만 제외한 비발효 방식으로 제조합니다. 맥아를 당화해 맥즙을 만들고 홉을 넣어 끓이는 과정을 거친 후, 효모를 넣는 발효 단계를 생략하는 방식이죠. 이는 발효 후 알코올을 제거하는 방식보다 완벽한 무알콜 구현이 가능합니다.
산토리는 맥주 전문가들이 투입돼 무려 400가지 배합 실험 끝에 지금의 레시피를 완성했다고 합니다.


재료는 맥아와 아로마 홉을 사용해 풍미를 살렸으며, 부족한 향은 천연 향료로 보완했습니다. 단맛을 줄이기 위해 산미료와 쓴맛 추출물을, 밸런스를 위해 감미료를 소량 첨가했다고 합니다.
황금빛 색감은 카라멜 색소로 구현했으며, 물은 산토리의 엄격한 기준을 통과한 천연 광천수를 사용했습니다.

📌

브랜드 컨셉과 마케팅

올프리는 “언제 어디서나 부담 없는 맥주의 즐거움”을 컨셉으로, 알코올∙칼로리∙당질 0%를 강조한 “3つのゼロ” 슬로건을 내세웠습니다.
심플한 흰색 패키지는 건강하고 깔끔한 이미지를 주며 다른 제품과 차별화를 꾀했습니다.
마케팅은 스타 마케팅이 핵심이었는데요.
미우라 토모카즈, 에이쿠라 나나, 아야노 고 등 유명 배우들이 초기 광고 모델로 활약했고, 이후 SMAP 출신 이나가키 고로와 카토리 싱고의 “논알코올 혁신” 캠페인이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최근에는 나나오, 마츠무라 호쿠토 등 세대를 아우르는 모델을 기용하며 “논알코올=올프리”라는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를 구축했습니다.

about me

지독한 알코올 러버였지만, 건강 이슈로
무알콜∙논알콜의 세계를 탐구 중입니다.

술을 사랑하는 사람의 입맛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알콜∙논알콜 음료를 소개합니다.
건강을 지키면서 유쾌한 삶을 살아갑니다!

Send a message

궁금하신 부분이나 비즈니스 제안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0 comments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일본 무알콜 맥주 료마 1865
일본 무알콜 맥주 료마 1865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등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다만 낱개 판매는 하지 않고, 24캔 단위로만 판매되기 때문에 가격 부담이 있는 편입니다.

저 역시 혼자 마시기 보다 여름휴가를 맞아 가족과 함께 즐기기 위해 구매했습니다. 료마 1865는 일본 맥주 애호가, 이른바 ‘맥주통’들에게 인기가 높다는 평을 듣고 기대가 컸던 제품입니다.

그럼 그 기대를 만족했느냐?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쉬움과 만족도가 공존하는 다소 애매한 경험이었습니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리뷰해 보겠습니다.

1. 료마 1865 무알콜 맥주 정보

1) 도수

0.00% 무알콜

2) 원재료명

맥아, 홉, 탄산

3) 구매처

네이버 스마트스토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음

4) 칼로리 등 영양 정보

↓↓↓↓↓↓↓↓↓↓

2. 료마 1865 무알콜 맥주
테이스팅 노트

  • 술 유사도25
  • 바디감70
  • 당도75
  • 쓴맛30

료마 1865는 처음 시음했을 때는 솔직히 실망스러웠는데요, 마시다보니 은근하게 중독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 맛과 향의 특징

‣ 맛
제가 좋아하지 않는 무알콜 맥주 특유의 호박엿 같은 단맛이 강하게 느껴졌습니다. 마신 후에는 끈적임이 남아 목넘김이 깔끔하지 않았습니다.

‣ 탄산감:

과하지 않아 자연스럽긴 했지만, 묵직한 질감 때문에 청량감은 부족했습니다.

‣ 향: 호박엿, 캐러멜류의 달콤한 향이 났으며, 거품은 잘 생기지만 밀도가 낮고 부드럽지 않았습니다.

‣ 맛의 조화:
보리의 고소함도 있었으나 단맛에 묻혔고, 피시니에는 로스팅된 커피의 쓴맛이 남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단맛, 쓴맛, 고소함, 산미가 섞여 독특하지만 균형감은 부족했습니다.

처음에는 낯설고 거부감이 들었지만, 마실수록 묘한 감칠맛과 묵직한 바디감 덕분에 다른 무알콜 맥주와는 차별화된 독특한 풍미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맛이 독특하다보니, 일본 내에서도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립니다.
정리해보면, “본격파 맥주 애호가에게는 최고의 무알콜, 라이트 유저에게는 난해한 맛”이라는 평가가 많았습니다.

👍🏻👎🏻
호불호가 갈리는, 그러나 매력적 풍미


또한,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주로 24캔 세트 판매가 이루어진다는 점도 흥미로운데요. 처음 맛볼 때 낯설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 마케팅 전략으로 보이며,
“처음엔 특이했지만 마실수록 중독된다”는 리뷰가 많은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입니다.

🗣️ 다른 사람들의 솔직한 후기도 궁금하다면?
 👉🏻[Untappd 리뷰] 확인하기👈🏻 

3. 료마 1865 무알콜 맥주 특징

📌

역사와 철학이 담긴 브랜딩

료마 1865는 일본맥주(주)(Nippon Beer Co., Ltd.)에서 출시한 무알콜 맥주입니다.
‘료마 1865’라는 이름은 일본의 근대화 혁명가인 사카모토 료마와 관련있습니다. 료마는 무역상을 운영하였는데요. 영국 상인과 교류하던 중 생애 처음으로 맥주를 마시게 되었는데, 이때가 1865년이라고 합니다.
즉, ‘료마’는 혁신을 상징하는 역사적 인물 사카모토 료마에서 따왔고, ‘1865’는 그 료마가 맥주를 처음 맛본 해를 뜻하는 것입니다.

제조 과정에서도 료마 1865만의 철학이 드러나는데요.
▸ 독일산 맥아 사용
▸ 맥아와 홉 외 첨가물 무첨가
▸ 저칼로리, 퓨린체 제로

대부분의 무알콜 맥주가 인공감미료로 맛을 보완하는 것과 달리,
료마 1865는 정통파 제조 방식을 고수합니다.
이 덕분에 건강과 맛의 균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는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

독특한 유통전략

유통 방식 또한 독특한데요. 일본 내에서도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쉽게 구입할 수 없고, 온라인몰 중심의 세트 판매 전략을 고집합니다.
이는 입소문과 온라인 콘텐츠에 의존하는 마케팅 전략과 맞물려,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효과를 냅니다.
실제로 “23캔이 지옥처럼 남는다”, “궁극의 무알콜 맥주다”같은 극단적인 리뷰가 오히려 바이럴 마케팅에 기여했습니다.

비록 일본 무알콜 맥주 시장에서 메이저 브랜드는 아니지만,
료마 1865는 꾸준히 마니아층을 확보하며 존재감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흑맥주나 람빅처럼 개성 있는 스타일을 선호하는 소비자에게는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라거 중심의 깔끔한 맥주 맛을 선호하는 소비자라면 다소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

총평

일본 무알콜 맥주 료마 1865는 호불호가 확실히 갈리지만, 한 번쯤 경험해볼 가치가 있는 무알콜 맥주입니다.
독특한 스토리, 첨가물 없는 정통 제조 방식,  그리고 묵직한 풍미 덕분에 ‘차별화된 무알콜 맥주’라는 타이틀이 충분히 잘 어울립니다.
일본에서 료마를 알면 상당한 맥주 마니아로 간주될 정도라는 농담도 있는데요.
맥주를 좋아하는데 논알콜 매니아라면! 꼭 경험해보시길 강력 추천합니다.

about me

지독한 알코올 러버였지만, 건강 이슈로
무알콜∙논알콜의 세계를 탐구 중입니다.

술을 사랑하는 사람의 입맛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알콜∙논알콜 음료를 소개합니다.
건강을 지키면서 유쾌한 삶을 살아갑니다!

Send a message

궁금하신 부분이나 비즈니스 제안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0 comments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일본 무알콜 맥주 아사히 드라이 제로

아사히 드라이 제로(Asahi Dry ZERO)는 아사히에서 “맥주 마니아를 위한 0.00% 무알콜”이라는 슬로건으로 선보인 대표적인 무알콜 맥주입니다.  일본 내에서는 맥주와 가까운 맛으로 호평을 받고 있으며, 무알콜 맥주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 브랜드입니다.

2024년 한 소비자 조사에서는 ‘인지, 구매경험, 재구매 의향’ 등 모든 항목에서 1위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또한, 2024년 Untappd 어워드에서 논알콜 라거 부문 동메달을 수상하며, 해외 맥주 애호가들에게도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1. 아사히 드라이 제로 무알콜 맥주 정보

1) 도수

0.00% 무알콜

2) 원재료명

식이섬유, 대두 펩티드, 홉, 탄산, 향료, 산미료, 카라멜 색소, 산화 방지제(비타민C),감미료(아세설팜K)

3) 구매처

네이버 스마트스토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음

4) 칼로리 등 영양 정보

↓↓↓↓↓↓↓↓↓↓

2. 아사히 드라이 제로 무알콜 맥주 테이스팅 노트

  • 술 유사도40
  • 바디감40
  • 당도30
  • 쓴맛25

🍺 맛과 향의 특징

‣ 맛
드라이 제로는 맥주와 비슷하다기보다는 맥주 맛이 나는 음료에 가까운 인상이었습니다. 발효된 맥아와 홉의 깊은 풍미보다는, 다소 인공적으로 조합된 맥주 맛 음료에 가까웠습니다. 피니쉬에 약간의 쇠맛이 감돌며 맥주 특유의 느낌을 살리긴 했지만, 홉의 쌉쌀한 맛은 거의 없는 편이었습니다.

제품명 그대로 전체적으로 드라이하고 깔끔한 인상을 주며, 은근히 단맛도 느껴집니다. 카스 무알콜 맥주에서 나는 비타민 음료 계열의 단맛이나 아카시아 꿀향을 떠올리게 하는 단맛이 살짝 느껴졌습니다.

‣ 향
향은 전반적으로 약한 편이지만, 은은한 꿀향과 홉향, 그리고 살짝 레몬향이 느껴졌습니다.

‣ 탄산감
탄산감과 청량감이 적당해서 목 넘김이 매우 좋습니다.

‣ 맛의 조화
깊이는 부족했지만 밸런스가 좋아 큰 단점으로 다가오지 않았습니다. 또한, 맛이 밋밋하거나 물처럼 느껴지기보다는, 깔끔한 청량감 덕분에 오히려 ‘워터리한 가벼운 바디감이 장점처럼 느껴졌습니다.

청량감과 🍽️페어링 GOOD

아사히의 또 다른 무알콜 제품인 아사히 제로와 비교했을 때, 개인적으로는 제로가 더 입맛에 맞았으나 드라이 제로도 충분히 맛있는 음료였습니다.

결론적으로 드라이 제로는 맥주 맛을 ‘재현’했다기보다, 청량한 ‘맥주 스타일 음료’에 가까웠습니다. 기름진 삼겹살이나 소고기와 함께 마셨을 때 깔끔한 청량감이 잘 어울려 음식과의 페어링에 강점이 있는 제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사람들의 솔직한 후기도 궁금하다면?
 👉🏻[Untappd 리뷰] 확인하기👈🏻 

3. 아사히 드라이 제로 무알콜 맥주 특징

📌

과학적 설계와 발효 프리 방식

아사히 드라이 제로는 맥아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식이섬유와 대두 펩타이드, 홉, 카라멜, 색소, 비타민C 등을 조합해 맥주의 향과 맛을 구현합니다.
아사히에 따르면 이는 맥즙에서 나오는 잡맛을 제거하고, 거품·향·쓴맛·목넘김·여운 등 맥주의 요소를 과학적으로 분석해 성분을 설계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발효된 듯한 향을 내기 위해 특허 향료 MBT를 극미량 첨가해 풍미와 밸런스를 맞추었습니다.

진하게 발효 후 알코올을 제거하는 브루 제로 기법과 달리, 드라이 제로는 처음부터 발효를 생략한 발효 프리 방식으로 만들어집니다. 이 덕분에 칼로리와 당 함량은 모두 ‘0’이며, 퓨린 함량도 낮아 건강을 고려하는 소비자에게 적합합니다.

📌

아쉬운 풍미, 하지만 뛰어난 음용감

맥주 재현도를 중시하는 소비자라면 드라이 제로가 아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라거 특유의 청량감은 잘 살아 있으나, 깊고 복합적인 풍미는 부족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운 여름날 시원하게 즐기기에는 충분히 매력적이며, 다양한 안주와 잘 어울리는 무알콜 맥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about me

지독한 알코올 러버였지만, 건강 이슈로
무알콜∙논알콜의 세계를 탐구 중입니다.

술을 사랑하는 사람의 입맛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알콜∙논알콜 음료를 소개합니다.
건강을 지키면서 유쾌한 삶을 살아갑니다!

Send a message

궁금하신 부분이나 비즈니스 제안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0 comments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일본 무알콜 맥주-기린 이치 제로
기린 제로 이치(Kirin Zero ICHI)는 기린 맥주 주식회사에서 2017년에 출시한 일본 무알콜 맥주입니다. 기존의 대표 제품인 기린 이치방 시보리 맥주에 적용되던 ‘이치방시보리(一番搾り製法) 공법’을 무알콜 제품에도 도입해 만든 것이 특징입니다.

과거 알코올을 즐기던 시절에는 기린 맥주를 참 좋아했었는데요🥹 그래서 기대를 품고 먹어봤습니다!

1. 기린 제로 이치 무알콜 맥주 정보

1) 도수

0.00% 무알콜

2) 원재료명

맥아(국내산), 물엿, 식이섬유, 쌀발효추출물, 홉, 탄산, 향료, 산미료, 조미료(아미노산), 유화제

3) 구매처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음

4) 칼로리 등 영양 정보

↓↓↓↓↓↓↓↓↓

2. 기린 제로 이치 무알콜 맥주 테이스팅 노트

  • 술 유사도20
  • 바디감20
  • 당도40
  • 쓴맛20

🍺 맛과 향의 특징

‣ 맛
마시는 순간 몰트의 단맛, 플로럴하면서 시트러스한 홉의 풍미가 느껴지지만, 동시에 꿉꿉하고 불쾌한 뒷맛이 퍼집니다.

마시면 마실수록 이 불쾌한 맛이 점점 더 도드라졌습니다. 끝맛에서 살짝 나는 쇠맛은 오히려 맥주 같은 인상을 주었습니다.
또한 아카시아 꿀처럼 은은한 꽃향의 단맛과 비타민 음료같은 단맛도 느껴졌습니다.

‣ 향
향에서 인위적인 꽃향과 함께 무알콜 맥주 특유의 꿉꿉한 향이 섞여 납니다.

‣ 탄산감 탄산감이 충분히 살아 있어 음용성이 좋았습니다. 이 탄산감이 맥주 같은 인상을 강화해 줍니다.
‣ 맛의 조화 처음 마셨을 때는 불쾌한 맛이 강해 조화로움이 부족했으나, 두 번째로 마셨을 때는 아카시아 꿀 같은 은은한 단맛과 비타민 음료같은 단맛이 어우러져 전반적인 밸런스가 한층 나아졌습니다.

✌🏻 두 번의 시음, 두 번의 다른 경험

기린 제로 이치는 두 번을 마셨는데요. 두 번의 경험이 매우 달랐습니다.
그 이유를 생각해보면, 마시기 전까지의 보관 환경 컨트롤때문인 것 같습니다.
일본 무알콜 맥주는 직구로 구매를 하는데요. 아무래도 배송비를 절약하기 위해 배편으로 수입되므로, 마시기 전까지 보관 환경을 컨트롤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맛의 차이가 생겼던 것이 아닌가 추측됩니다.

💡 총평

총평을 하자면, 인위적인 꽃향과 몰트의 단맛이 어우러져 맥주맛 음료 느낌은 나지만, 워터리하고 바디감이 빈약한 편입니다. 몰트의 단맛이 지나치게 강조되어 달큰한 맛이 풍미를 해치기도 합니다.

맥주를 평소에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이 제품의 달큰하고 탄산감 있는 맛을 오히려 즐길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다른 사람들의 솔직한 후기도 궁금하다면?
 👉🏻[Untappd 리뷰] 확인하기👈🏻 

3. 기린 제로 이치 무알콜 맥주 특징

📌

기린 프리에서 제로 이치로

기린 맥주 주식회사는 2009년, 먼저 기린 프리(Kirin Free) 무알콜 맥주를 출시했는데요.
당시 소비자 4명중 1명이 맛에 대해 불만을 표했고, ‘맥주에 가까운 맛’에 대한 수요가 높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이에 따라 기린은 소비자 피드백을 반영해, 더 맥주다운 무알콜 맥주를 만들기 위헤 ‘이치방시보리 공법’을 제로 이치에 도입하게 됩니다.
이 공법은 보리즙 여과 과정에서 두 번째 보리즙을 짜지 않고, 처음 흘러나오는 ‘이치방시보리(첫 번째 착즙)’ 보리즙만을 사용하는 제조법입니다. 이는 기린 이치방 시보리 맥주에도 적용됩니다.

📌

무알콜 제조 방식과 협업 기술

기린 제로 이치의 무알코올 처리 방식은 기린 프리 제품과 유사합니다. 맥즙과 홉을 사용하되 전형적인 알코올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는 발효 프리(Fermentation Free)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즉 마지막 공정에서 효모균을 넣지 않은 채 탄산이나 그 밖의 성분을 첨가해서 만드는 것이죠.

기린은 효모 발효에서 발생하는 맥주 특유의 풍미를 구현하기 위해 츄하이 개발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필요한 향미를 부여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또한 발효 프리 방식은 산미를 강화시키는데, 이를 조절하기 위해 청량음료를 만드는 담당자와도 협력합니다.

📌

성공적인 시장 반응

이러한 노력덕분인지 기린 제로이치는 출시 초기부터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기린 발표에 따르면 2017년 출시 후 10일만에 연간 목표의 약 20%를 달성했고, 그 해 무알콜 맥주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약 30% 상승했다고 합니다.

about me

지독한 알코올 러버였지만, 건강 이슈로
무알콜∙논알콜의 세계를 탐구 중입니다.

술을 사랑하는 사람의 입맛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알콜∙논알콜 음료를 소개합니다.
건강을 지키면서 유쾌한 삶을 살아갑니다!

Send a message

궁금하신 부분이나 비즈니스 제안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0 comments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논알콜 무알콜 맥주

아사히 무알콜 맥주 아사히 제로(Asahi ZERO)는 가장 애정하는 무알콜 맥주 중 하나인데요🫶🏻
무알콜 맥주에서 이 정도로 맥주와 유사한 맛을 내기 쉽지 않은데, 아사히 제로는 정말 잘 만든 제품 같습니다.

아사히 제로는 2023년에 첫 출시 된 역사가 오래된 맥주는 아니지만, 일본 무알콜 맥주 중 제 입맛엔 단연 최고였습니다.

1. 아사히 제로 무알콜 맥주 정보

1) 도수

0.00% 무알콜

2) 원재료명

맥아(국내산), 맥아엑기스, 보리, 옥수수, 쌀, 전문, 홉, 탄산, 향료

3) 구매처

네이버 스마트스토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음

4) 칼로리 등 영양 정보

↓↓↓↓↓↓↓↓↓↓

2. 아사히 제로 무알콜 맥주 테이스팅 노트

  • 술 유사도65
  • 바디감55
  • 당도20
  • 쓴맛35

술 유사도에서 꽤 높은 점수를 준 이유는
‘진짜 맥주 같다!’는 착각 때문이라기보다는,
무알콜 맥주라는 전제를 두었을 때,
그 중에서도 유사도가 높고 완성도가 뛰어난 제품이라는 점이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 맛과 향의 특징

‣ 맛
쓴맛, 감칠맛, 고소함이 균형 있게 어우러져 전반적으로 맥주 특유의 풍미를 잘 구현하였습니다.

‣ 탄산감
탄산감과 청량함이 적절하여 다양한 음식과의 페어링에서도 강점을 보입니다.

‣ 향
아로마 홉향은 실제 맥주와의 유사성이 높아 만족도를 높여주었습니다.

‣ 맛의 조화
맥주와 직접 비교하면 물론 아쉬움이 있습니다. 몰티한 풍미는 부족하고, 바디감 역시 일반 맥주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그래서 이 제품은 “맥주 그 자체”라기 보다는, 맥주 맛에 매우 근접한 무알콜 음료라는 표현이 더 정확한 듯 합니다. 🧐

그럼에도 무알콜 맥주라는 범주 안에서는 상당히 잘 만든 제품입니다. 맛의 밸런스가 뛰어나고 무알콜 맥주에서 종종 느껴지는 워터리하고 밍밍한 느낌이 적습니다.

저는 육류와도, 새비치랑 회 등의 해산물 요리와도 함께 마셔봤는데요. 적색육과 페어링에서는 좀 밍밍하다고 느껴지는 부분이 있었지만, 해산물과는 음식의 맛을 해치지 않으면서 음료의 청량감을 더해주는 느낌이 좋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회와의 조합에서 무알콜 맥주 특유의 가벼움이 오히려 장점으로 작용해, 적색육보다 더 만족스러운 페어링이었습니다.

💡

아사히 제로는?

무알콜 맥주의 범주 안에서 맥주 본연의 맛을 잘 살린, 고품질 무알콜 맥주의 좋은 선택지

🗣️ 다른 사람들의 솔직한 후기도 궁금하다면?
 👉🏻[Untappd 리뷰] 확인하기👈🏻 

3. 아사히 제로 무알콜 맥주 특징

📌

아사히 제로의 제조 기법

아사히 제로는 아사히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브루제로(Brew Zero)” 기법으로 만들어집니다. 이 방식은 전통적인 탈알콜 공정이 아니라 발효 자체를 억제하여 처음부터 알코올이 거의 생성되지 않도록 설계된 제조법입니다.

이러한 발효 제한(제어) 방식은 ‘버드와이저 제로(Budweiser Zero)’에서도 사용되며, 원료의 당분 조절이나 발효 과정 제어를 통해 알코올 생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아사히는 여기에 고농도의 맥아즙을 사용하면서 발효를 제한적으로 조절해 알코올을 극소량만 생성하게 하고, 이후 2차 탈알코올 공정을 두 차례 반복하여 알코올을 완전히 제거합니다.

📌

풍미와 차별성

공식적인 제조 방식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일본 무알콜 맥주가 발효를 생략하고 탄산음료처럼 인공적인 맛을 구성하는 것과 달리, 아사히 제로는 실제 발효 과정을 거친 뒤 알코올을 제거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

다만 발효를 제한하기 때문에 일반 맥주와 비교하면 맥아 특유의 고소함과 깊은 풍미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아사히는 고농도의 맥아즙을 활용하여 보다 진하고 실제 맥주에 가까운 풍미와 묵직한 바디감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0 comments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error: Content is protected !!